※ 퀵메뉴 메뉴에 대한 사용자 설정을 위해 쿠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메뉴 체크 후 저장을 한 경우 쿠키 저장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경향신문]국민대 한국학연구소 ‘한인귀환학술총서’ 출간
1권 <해방 전후 국제정세와 한인의 귀환>은 해외 한인 귀환 당시 국제정세와 함께
일본·몽골·소련·인도네시아·하와이·태평양열도 등 해외 각처의 한인 귀환을 구체적으로 밝혔다. 2권 <해방 후 중국·대만지역 한인의
귀환>은 230만명에 이르렀던 중국과 대만 지역 한인의 귀환문제를 독립주제로 다루었다. 3권 <해방 후 한인 귀환의 역사적
과제>는 한인 귀환이 남긴 역사적 과제와 구술 사례를 통해본 귀환의 실상 등을 다루었다.
해방 당시 해외 한인은 중국
230명, 일본 220만명, 구소련 20만명, 동남아 10만명, 사할린 50만명 등 500만명으로 당시 한국 인구의 20%에 이르렀다. 일본의
식민지 지배 때문에 해외로 이주했거나, 일제 침략전쟁에 동원된 이들이다. 전쟁이 끝나고 포츠담선언 제9항이 명시한 인도주의 원칙에 따라 귀환해야
했지만, 250여만명이 억류되거나 잔류했다. 일본의 한인들은 재산을 몰수당하거나 강제추방됐다. 전쟁에 동원된 한인은 연합군 점령군으로부터 포로나
전범 취급을 받아야 했다.
장석홍 국민대 국사학과 교수는 “‘귀환 문제는 해방 이전은 물론 해방 후에도 미군정 및 연합군총사령부의
정책에 따라 결정됐다”며 “해외한인은 일제 식민지배뿐 아니라 전후 미국의 ‘동아시아 평화체제’ 유지를 위해 또다시 희생양이 되고 말았다”고
말했다.
원문보기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03122105295&code=960201출처 : 경향신문 기사보도 2013.03.12 2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