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퀵메뉴 메뉴에 대한 사용자 설정을 위해 쿠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메뉴 체크 후 저장을 한 경우 쿠키 저장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중앙SUNDAY] 몽골군 포로 된 백성 한 해 20만 … 사망자는 그 이상/박종기(국사학과) 교수
1231년 1차 몽골군의 고려 침입 때 구주(龜州)성은 최대의 격전지였다. 이 전투의 고려군 지휘자는 서북면[평안도]병마사 박서(朴犀)였다. 그는 한 달간 계속된 전투에서 몽골군의 구주성 점령을 저지해 영웅이 된다. 당시 생생한 전투 장면이 『고려사』에 기록돼 있다
몽골군이 쇠가죽으로 감싼 사다리 수레 속에 군사를 감춰 성 밑으로 접근해 굴을 판 다음 성 안으로 들어오려 했다. 박서는 굴 속으로 쇳물을 부어 몽골군을 막고, 썩은 이엉에 불을 붙여 몽골군의 수레를 불태워 쫓아냈다. 몽골군이 사람 기름에 불을 붙여 공격하자 박서는 진흙에 물을 부어 불길을 잠재웠다. 몽골군이 다시 건초에 불을 붙여 공격해오자 이번에는 물을 부어 불길을 잡았다. 점령에 실패한 몽골군은 구주성을 우회해 개경을 공격하고 고려 왕조의 항복을 받아낸다. 몽골의 압력을 받아 고려 왕조는 사신을 구주성에 보내 항복을 권유했으나 박서는 응하지 않았다. 국왕이 나서 항복을 권유하자 박서는 어쩔 수 없이 항복했다. 몽골은 다시 박서의 처단을 요구했다. 무신 권력가 최이(崔怡)는 박서를 고향으로 도망치게 했다. 이 전투에 참여한 70여 세의 몽골군 노(老)장수는 “내가 20세부터 천하의 수많은 성을 공격했으나 이같이 오래 버티며 항복하지 않은 장수는 본 적이 없다”고 했다(『고려사』 권103 박서 열전). 박서는 이 전투를 계기로 백성들의 추앙을 받는 영웅이 된다.
지배자들은 백성들에게 희생과 충성심을 이끌어내기 위해 새로운 영웅을 만든다. 영웅은 전쟁을 통해 화려하게 무대 위로 등장한다. 그렇지만 전쟁으로 고통받은 수많은 민초들이 그 무대를 떠받치고 있다는 사실을 잊을 때가 많다. 전쟁의 고통을 겪은 민초들의 얘기 역시 전쟁을 막고 평화를 누리기 위한 역사 서술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 더욱이 고려 후기에는 삼국부흥운동을 비롯해 수많은 하층민의 봉기, 삼별초 항쟁, 몽골군과의 전투 등 수많은 내란과 전쟁을 겪었지만, 그에 관해 전해지는 민초들의 얘기는 다음의 두 개 기록에 불과할 정도로 간략하다.
원나라 끌려가 종살이하던 모친 구한 김천
명주(溟州:강릉) 호장(戶長:향리 우두머리)인 김천(金遷)의 어머니와 동생 덕린(德麟)은 몽골군의 포로가 돼 만주 요양(遼陽:지금 심양)으로 끌려가 각각 몽골 군졸인 요좌(要左)와 천노(天老)의 종이 된다. 김천의 나이 15세 때이다.
14년 후 원나라에서 돌아온 백호(百戶:당시 하급 장교) 습성(習成)이란 자로부터 김천은 어머니와 동생의 소식을 듣는다. ‘나는 살아 있고, 원나라에서 종이 되어 있다. 굶주려도 먹지 못하고 추워도 입지 못한 채 낮에는 밭을 매고 밤에는 방아를 찧는 등 갖은 고생을 하고 있다’는 어머니의 편지를 받은 것이다. 세상을 떠난 줄 알고 제사를 지내오던 김천은 빚을 내어 몸값을 치를 은(銀)을 마련한다. 개경에 가서 국왕이 원나라로 가는 편에 따라가기를 요청했으나 허락받지 못한다. 그는 6년 동안 개경에 머물면서 어머니를 만나기 위해 온갖 노력을 한다. 어느 날 고향에서 알던 승려를 만나 군인인 그의 동생이 만주 요양으로 간다는 얘기를 듣고 겨우 허락을 받아 어머니가 있는 곳으로 간다. 군졸 요좌의 집에 이르자 한 할머니가 절을 하면서 말했다.
“나는 명주 호장 김자릉의 딸이다. 형제인 김용문은 과거에 급제했고, 나는 호장 김종연에게 시집가서 해장(海莊:김천)과 덕린(德麟)이란 아들 둘을 낳았다. 내가 이곳에 온 지 이미 19년이 되었고, 둘째 아들도 이웃의 종으로 있다.”
죽은 줄 알았던 어머니를 20년 만에야 찾은 것이다. 주인 요좌에게 애걸하여 은 55냥으로 어머니의 몸값을 치렀다. 돈이 부족해 동생은 바로 데려올 수 없었다. 홀로 남은 동생은 ‘만일 하늘이 복을 내리면 반드시 서로 만날 때가 있을 것입니다’라면서 어머니와 형을 전송했다. 모자는 서로 안고 울었다. 그때 고려 재상 김방경(金方慶)이 귀국길에 이 소식을 듣고 모자에게 증명서를 만들어줘 공로(公路)를 통해 귀국하게 했다. 6년 뒤 김천은 86냥의 몸값을 치르고 동생도 데려왔다(이상 『고려사』 권121 김천 열전).
김천의 어머니와 동생은 고종(1214∼1259년 재위) 말년 포로가 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1253년(고종40) 10월 몽골군이 양주(襄州:강원도 양양)를 함락한 기록으로 미루어 보아 그 인근의 명주(강릉)도 이때 공격을 받아 김천의 어머니 등도 몽골군의 포로가 되었다. 김천의 어머니가 포로가 될 당시 고려는 전쟁으로 엄청난 피해를 입었다.
몽골과의 30년 전쟁에서 최대의 인명 피해를 입은 해가 1254년(고종41)이다. 이 해 원나라에 포로로 끌려간 인원이 약 20만7000명이나 된다. 사망자는 더 많았다고 한다. 당시 고려 인구는 500만 명 안팎으로 추정된다.
“이 해에 몽골의 군사에게 사로잡힌 남자와 여자는 무려 20만6800여 명이다. 살육된 사람의 숫자는 헤아릴 수 없다. 몽골군이 지나간 마을은 모두 잿더미가 되었다. 몽골의 병난이 있는 이래 금년처럼 심한 적은 없었다.”(『고려사』 권24 고종 41년 조)
원나라는 고려인 포로들을 통치하기 위해 1296년(충렬왕22) 심양에 고려군민총관부(高麗軍民總管府)를 설치한다. 당시 심양왕(瀋陽王)이란 책임자를 임명했는데, 고려 국왕과 같은 지위를 부여했다. 만주의 심양 지역에는 그만큼 고려인이 많이 거주했다.
김천의 집안은 대대로 강릉의 지방행정을 맡아 온 토착 향리 출신이다. 김천의 부친과 외조부는 모두 향리의 최상층인 호장이었고 삼촌은 과거에 합격한 진사였다. 호장층은 세습 계층이다. 따라서 김천의 집안은 강릉에 오랫동안 뿌리를 내리고 살아온 유력 계층이었다. 또한 상당한 경제력이 있어 모친과 동생의 몸값을 치르고 귀국시킬 수 있었다. 포로 중엔 그렇지 못한 민초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들은 포로로 이국으로 끌려가 노비로서 비참한 일생을 마칠 수밖에 없었다. 비록 20년 동안 종살이를 했지만 김천의 어머니와 동생이 귀국한 것은 행운이라 할 수 있다.
전란에 친부와 시부·남편까지 잃은 조씨
고려 말 유학자 이곡(李穀:1298∼1351년)은 1341년 ‘절부조씨전(節婦曺氏傳)’(『가정집』 권1)이란 전기를 지었다. 그는 전쟁고아와 미망인인 조씨의 삶을 ‘곧게 살아온 여인[節婦]’이라고 압축적으로 표현했다. 이곡은 조씨의 집을 구입했는데, 조씨의 손녀사위가 자신과 같은 해 과거에 합격한 동년(同年)이라는 인연으로 이후 조씨와 자주 만나 얘기를 나누면서 그녀의 기구한 삶을 기록할 수 있었다. 조씨의 삶 속에는 몽골과의 전쟁 이후 고려사회가 겪은 여러 전쟁의 흔적이 그대로 담겨있다.
1270년(원종11) 6월 고려 정부가 강화에서 개경으로 환도하기로 결정하자 이에 반발한 무신들이 반기를 든 삼별초의 난이 일어난다. 이때 6세인 조씨는 군인인 아버지 조자비(曺子丕)와 함께 삼별초군에 체포되어 삼별초군을 따라 진도로 남하한다. 남하 도중 아버지 조자비는 딸을 데리고 탈출하여 개경으로 귀환한다. 조자비는 다시 고려군에 편성되어 1271년(원종13) 겨울 삼별초군을 정벌하러 탐라(제주도)에 갔다가 전사한다.
아버지를 잃은 조씨는 13세 되던 해(1278년) 대위(隊尉:정9품) 벼슬의 군인 한보(韓甫)에게 출가했다. 조씨의 시아버지도 군인이었다. 결혼 3년 만인 1281년(충렬왕7) 여름 조씨의 시아버지는 몽골·고려 연합군의 2차 일본 원정에 참전했다가 전사한다.
1290년(충렬왕16) 12월 원나라 사람 내안(乃顔)이 만주에서 세조 쿠빌라이에 반란을 일으킨다. 내안의 휘하 장수 합단(哈丹)이 원나라 군사에 쫓겨 고려로 침입한다. 충렬왕이 강화도로 피란을 갈 정도로 상황은 위급했다. 원나라는 군사 1만3000을 보내 고려군과 함께 합단을 공격하여 이듬해 이들을 소탕한다. 조씨의 남편 한보는 1291년(충렬왕17) 여름 합단의 군대와 전투를 벌이다가 전사한다. 조씨가 27세 되던 해이다. 조씨는 7세 되던 해에 아버지를 잃어 고아가 되었고, 출가 후 전쟁터에서 시아버지와 남편까지 잃었다. 이후 77세까지 50년간 과부로서 홀로 지낸다.
과부가 된 조씨는 언니의 집에서 기숙한다. 그러다 자신의 딸이 출가하자 딸의 집에 몸을 의탁한다. 그런데 1남1녀를 낳은 딸마저 일찍 죽어 손녀에게 의탁해서 지금까지 살고 있다. 이곡은 조씨를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조씨는 50년을 과부로 지내면서 밤낮으로 길쌈과 바느질 같은 부녀자의 일을 열심히 했다. 그 덕에 딸과 손자·손녀를 먹이고 입히며 살아갈 터전을 잃지 않게 하였다. 또한 손님을 접대하고 혼례상례와 제례의 비용을 손수 마련하였다. 지금 77세나 되었는데도 아직 탈 없이 건강을 유지하고 있다. 거기에다 총명하고 지혜로워 적에게 사로잡힐 당시의 상황이라든가 근래 정치의 잘잘못이라든가 사대부 집안의 내력 등을 이야기할 땐 하나도 빠뜨리는 일이 없이 모두 기억하고 있다.”
이곡은 50년 동안 ‘부절’을 지키면서 꿋꿋한 삶을 살아온 조씨를 기리려고 이 전기를 지었다. 그러나 이를 통해 전쟁으로 아버지와 시아버지·남편을 차례로 잃은 후 전쟁고아와 미망인의 고단한 삶을 살아온 민초의 삶을 읽을 수 있다. 수많은 내란과 전쟁으로 얼룩진 고려 후기사회를 살았던 민초들의 얘기를 더 이상 찾을 수 없음은 유감이다.
원문보기 : http://sunday.joins.com/article/view.asp?aid=32232
출처 : 중앙SUNDAY 기사보도 2013.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