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닫기

전체메뉴

Quick Menu

Quick Menu 설정

※ 퀵메뉴 메뉴에 대한 사용자 설정을 위해 쿠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메뉴 체크 후 저장을 한 경우 쿠키 저장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언론속의 국민

알파리스크와 기업가 정신 / 장종현(경영학부) 겸임교수

  • 작성자 서유리
  • 작성일 19.03.20
  • 조회수 8455

# 알파리스크와 위험회피현상

올해부터 국민대학에서 현대 기업과 기업가 정신이라는 과목을 강의하기로 했다.

불현듯 내가 기업에 재직 시 임직원 대상으로 특강을 하던 알파리스크라는 화두가 떠올랐다. 알파리스크는 일반적으로 이야기하는 위험 회피현상인데 미래의 실패를 두려워하며 자꾸 위험도가 낮은 방향으로 선택하는 과정이다.

알파리스크는 조사방법론에서 유래한 개념으로 참을 거짓으로 판단하는 오류를 말하는데 좋은 표본 추출 결과를 통계의 오류를 우려해 적정 표본 집단으로 채택하지 않는 오류를 말한다.

이를 현실로 대입해 보면 경찰이 범죄의 의심이 많이 가는 피의자를 적극적으로 수사할 경우 강압수사 등의 책임추궁 등 뒷감당이 두려워 소극적 수사로 범인을 잡지 못하는 경우가 알파 리스크 회피현상으로 볼 수 있다.

한국은 언제부터 이 같은 현상으로 미래가 불확실한 직업 선택을 기피하고 있는 현상은 심각한 수준이며, 대기업 취업도 IMF 당시의 명예퇴직으로 대표되는 조기퇴직을 두려워해 젊은이의 미래 선택 직업은 공무원, 교직, 국영기업과 의사, 변호사 등 자격증 직업 선호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한국의 미래를 매우 밝게 예측하는 세계적 투자가 짐 로저스조차도 한국 미래의 가장 큰 위험으로 젊은이들이 위험을 내포한 창업을 기피하고 공무원을 선호하는 현상을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알파리스크를 최소화하는 개인의 이기적 선택은 필연적으로 새로운 형태의 선진국 병인 3D직종 기피현상, 사회 역동성 부족, 기업가 정신 퇴보 등은 이 같은 베타리스크의 단면을 보여 준다.

학문적으로 볼 때도 위험을 최소화하는 방법은 알파리스크와 베타리스크의 합이 최소화하는 점을 찾는 것이 중요한데 한국 사회는 알파리스크를 최소화하는 과정에서 부지불식간 베타리스크가 커져 사회 전체의 리스크로 부각되는 단계에 이르고 있다.

#기업가 정신 회복과 창업 활성화

한국의 대기업은 선진국에서 분석할 때 엄청난 기업가 정신으로 1960~70년대의 고도 성장을 견인했고 이 같은 기업가 정신은 건국 이래 최대 위기로 불리는 1997년 IMF 구제금융의 경제위기를 조기에 극복하는 놀라운 성과를 달성했다.

한국의 대표 대기업인 삼성, 현대, SK, LG는 물론 네이버, 넥슨, 카카오, 엔씨소프트 등 인터넷 플랫폼 기업을 키우는 동인이 됐다. 미국과 중국은 물론 이스라엘, 에스토니아 등 창업 선진국의 최우수 대학생들은 한국 같은 공무원 선호현상은 찾기 어렵고 최근 들어 기술혁신이 활발한 인공지능 분야 전문인력의 경우 30만~50만 달러(한화 약 3억~5억 원 이상) 이상 연봉을 제시해도 기술인력을 구하지 못할 정도로 창업 열기가 고조되고 있는 점은 그저 부러울 따름이다.

한국의 고도 성장을 견인한 기업가 정신의 퇴보야말로 한국사회의 구조 리스크를 키우는 핵심 원인이며 그 해결책도 당연히 기업가 정신의 회복에서 찾아야 한다고 볼 수 있다.

# 창업기업에 대한 기업가정신 회복

2019년에는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창업지원 기금이 전년 대비 대폭 증가한 1조 원을 확보했다는 내용을 접했다. 물론 청년 창업 활성화를 위해서 바람직한 측면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그 내용을 살펴 보면 많은 과제가 있다.

미국에는 실리콘밸리라는 엄청난 인프라가 형성돼 있어 기업가 정신을 보유하고 사업 아이디어를 가진 최상위권 대학생들이 주저 없이 창업시장에 진입하고 있다.

반면 한국의 경우 창업지원기금의 경우 여전히 청년 취업대책과 연계돼 사업 아이디어의 완성도와 기업가 정신 등이 핵심 배분 기준이 되지 못하고 여전히 가급적 많은 사람들에게 공평하게 배분하는 분배정책 운용으로 최상위권 창업기업의 경우 정부의 정책 지원을 받을 경우 지원 규모도 크지 않을 뿐더러, 지원 이후에도 비용 집행 등에 지나치게 많은 통제를 요구해 지원을 기피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현재의 경제 위기는 기업가 정신의 부재에 기인한 바 크며, 창업기업에 대한 기업가 정신의 회복만이 구조적 위기에 빠진 한국 경제의 돌파구로 볼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정부는 창업지원 기금의 사용을 기업가 정신을 촉진해 기업가 정신을 갖춘 젊은 기업인 육성을 촉진해 미국의 선진 IT창업기업인 FAANG(Facebook, Amazon, Apple, Netflix, Google)와 경쟁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는가를 제로베이스에서 진단해 보고 개선점을 찾으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출처: http://www.kihoilbo.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797580


※ 이 기사는 '뉴스콘텐츠 저작권 계약'으로 저작권을 확보하여 게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