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닫기

전체메뉴

Quick Menu

Quick Menu 설정

※ 퀵메뉴 메뉴에 대한 사용자 설정을 위해 쿠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메뉴 체크 후 저장을 한 경우 쿠키 저장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언론속의 국민

[매일경제-테마진단] 새로운 시험대에 선 현대차 노사 /강신돈(국제통상학) 교수

  • 작성자 이민아
  • 작성일 09.10.27
  • 조회수 10431

얼마 전 현대ㆍ기아차가 글로벌 경제 침체에도 불구하고 세계시장에서 입지를 넓혀가고 있다는 기사가 눈길을 끌었다. 경제위기 속에서도 시장점유율을 올릴 수 있었던 것은 시장에 맞는 전략형 차종을 개발해 적절한 시점에 신차를 투입하고 판매를 확대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현대ㆍ기아차 `질주`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9월 미국시장 내 현대차 판매는 전년보다 27.2% 증가해 외국 업체들에 비해 선전했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일부 언론은 8월보다 47% 급락하고, 현대ㆍ기아차 미국 점유율마저 8월 7.95%에서 9월 7.12%로 떨어져 성장세에 제동이 걸린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었다.

미국 자동차시장에서는 지난 9월 미국 정부가 중고차를 연비 좋은 신차로 바꿀 때 보조금을 줬던 `중고차 현금보상 프로그램`이 종료돼 전체 판매량 자체가 8월(126만여 대)보다 41% 줄었다.

현대차 실적 악화 또한 예견되었던 결과이기도 하다. 실직자 보상 프로그램 등 현대차가 시행한 파격적인 마케팅에 시장을 빼앗겼던 미국 자동차 `빅3`와 도요타 등이 시장 수성을 위해 더욱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지난해 9월 경제위기 이후 현대차는 경쟁업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선전해왔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현대차 위기관리 능력과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외부에서는 `위기상황이 아닌가`라는 의문을 제기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난제들이 산적해 있는 현대차 노사관계 불안이 가장 큰 이유일 것이다.

올해 현대차 노사관계는 집행부 사퇴 등으로 임금교섭이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지금까지 큰 문제 없이 순항해왔다. 정례적인 파업이 사라지고 경제 침체기에 취한 특단의 마케팅 조치들이 현대차 성공요인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신집행부 출범과 미뤄졌던 임금 협상 등으로 연말 현대차 노사관계 불확실성이 부담이 되고 있다. 게다가 금속노조 위원장에 강성으로 알려진 현대차 노조위원장 출신이 당선됨에 따라 현대차 노사관계를 둘러싼 여러 염려가 나오고 있다.

올해 말 노조 전임자 급여 지급 금지와 복수노조 허용 등 노동법 개정을 앞두고 노동계가 대규모 투쟁을 예고하면서 현대차 노조가 다시금 이러한 소용돌이에 휘말리는 것은 아닌지 걱정 섞인 목소리가 커져가고 있다.

현대차는 노조 내부 전임자가 82명, 금속노조와 민노총 파견이 16명, 임시상근자 119명이며 이들에게 급여 등으로 들어가는 비용만도 연간 137억원에 달한다고 한다. 툭 하면 파업하는 현대차 노조 사례를 보더라도 노조 전임자에게 급여를 지급하는 관행이 노사관계 악화로 이어져 왔다는 사실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현대차 신임 노조가 중도실리 노선을 표방하고 새로운 노동운동을 추구하겠다고 나선 것이다.

이제 또 한 번 도약하기 위해서는 현대차 노사가 힘과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

정부 역할도 대단히 중요하다. 노동조합법이 잠자고 있던 13년간 노조 전임자 수는 해마다 늘어났다. 1990년 당시만 해도 조합원 219명당 1명이었던 전임자 수는 2008년 조합원 149명당 1명으로 늘어났다. 이번에 또다시 법안이 유예된다면 전임자 수와 비례해 회사 부담 또한 증가할 것이다. 기업 노사관계는 우리 경제를 위해서도 중요하기 때문에 정부는 노조 전임자 임금 지원 금지를 원칙대로 시행함으로써 합리적 노사관계가 정착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과연 현대차 성장세가 꺾일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역사를 써 내려갈지는 하반기 현대차 노사 측 선택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국민은 현대차가 세계 최고 자동차업체가 되어주길 바라고 있다. 이런 기대와 염려에 현대차 노사가 어떻게 화답할지 지켜볼 일이다.

[강신돈 국민대 교수]


원문보기 : http://news.mk.co.kr/outside/view.php?year=2009&no=554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