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닫기

전체메뉴

Quick Menu

Quick Menu 설정

※ 퀵메뉴 메뉴에 대한 사용자 설정을 위해 쿠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메뉴 체크 후 저장을 한 경우 쿠키 저장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언론속의 국민

[서울신문]동반성장의 문화경제학/소병희(경제학과) 교수

  • 작성자 이민아
  • 작성일 10.12.22
  • 조회수 7983

전직 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동반성장위원회가 발족되었다. 몇달 전 대기업과 하청관계에 있는 중소기업과의 거래 관행 개선을 촉구한 대통령의 발언으로 촉발된 대기업-중소기업 간 상생을 위한 대책인 셈이다. 지난 여름, 서울에서는 대기업이 하청기업을 울리는 관행에 대한 비난이 들끓고 있을 때, 빌 게이츠를 비롯한 세계적 대기업인들은 사회적 환경이 그들에게 큰돈을 벌 기회를 주었기에 사회와 국가에 진 큰 빚을 갚아야 할 책임을 느껴서 재산의 반 이상을 사후에 기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세계의 갑부 40명이 동참했다는 이 뉴스는 한국 대기업의 관행과 극명하게 대비되어 신선하면서도 씁쓸하기 그지없었다. 

현 대통령은 온갖 하도급 비리와 부조리가 난무하던 1970~1980년대 건설업계에서 잔뼈가 굵은 대기업 CEO 출신이므로 하도급 관행을 너무도 잘 알고 계실 것이다. 그러므로 야비한 하도급 관행에 철퇴를 놓기 위해서는 ‘대통령의 질타’ 외에는 대기업의 경각심을 불러일으킬 방법이 없는 것이 우리 대기업의 ‘기업문화’라는 현실을 아마도 너무나 잘 알고 계서서 관행의 개선을 직접적으로 촉구했을 것이다. 그런데 한 가지, 대통령이 간과한 것이 있다. 지금은 정부의 정책환경이 1980년대의 ‘정치권력-대기업’ 역학구도와는 다른 ‘민주화된 정치인-세계화된 대기업’ 역학구도로 바뀌었다는 점이다. 1980년대의 기업문화가 전문경영인은 항상 오너의 눈치를 봐야 했으며 대기업은 관의 눈치를 보며 정치자금 마련에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것이었다면, 2000년대의 기업문화는 오너가 정치가를 꿈꾸기도 하며 전문경영인은 이런 오너의 정치자금을 마련해 주는 분위기로 바뀌었다.

인터넷을 통한 의사소통이 전광석화 같은 이 시대는 대통령의 한마디보다도 트위터를 통한 국민들의 입이 더 무섭다. 국민의 여론이 무섭기는 정치가뿐 아니라 대기업도 예외가 아니다. 소비자의 날카로운 비판은 회사의 제품이나 서비스뿐 아니라 회사의 비윤리적 경영에도 직격탄을 날려서 회사의 존폐를 가를 수도 있는 사회가 되었다.

문화가 바뀌고 있는 것이다. 기업하는 문화, 정치하는 문화, 돈 버는 문화, 돈 쓰는 문화가 모두 바뀌고 있다. 어떤 것은 서서히, 어떤 것은 급속히 바뀌고 있다. 기업이든 관료사회이든 변하고 있는 문화를 이해하면 효과적인 경영전략과 경제정책을 수립할 수 있으나, 구태의연한 발상에만 매달린다면 변화의 급류에 휩쓸려 사라지고 말 것이다.

대기업-중소하청기업 간 불공정거래에 대한 비난여론은 한동안 대기업을 전전긍긍하도록 만들었다. 대기업은 이것을 적대적인 사회분위기로 인식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것은 대기업에 대한 우리사회의 기대가 그만큼 크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일 수도 있다. 국민들은 대기업이 우리 경제를 이끌어 나가고 우리 사회의 모범적 리더가 되기를 기대하기 때문에 그에 걸맞은 사회적 책임과 윤리경영을 요구하는 것이다.

기업들도 이제는 스스로 제대로 된 윤리경영을 하도록 기업 경영 풍토와 문화를 바꿔 나가야 한다. 이를 선도할 주체는 역시 세계 굴지의 기업이 되기를 꿈꾸는 대기업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글로벌 시대가 된 이제는 우리나라 대기업도 스스로 경영윤리를 세우고 거기에 맞게 행동하는 세계화된 성숙한 대기업으로 기업문화를 바꿀 때가 된 것이다. 동반성장 문화의 성숙한 변화를 통한 선진화 없이는 우리가 안정된 사회를 이루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이미 1980년대부터 마련되어 있는 공정거래법과 하도급법만 우리 기업들이 제대로 지켰어도 하청업체들과 재하청업체들에 현금결제를 하지 않아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게 되는 일은 없었을 것이다. 대기업-중소기업 간의 자발적인 협력과 상생문화를 조성하는 것은 단순한 법령 개정 이상의 의식개혁과 기업문화의 변화를 전제로 한다. 기업인의 의식개혁과 기업문화의 변화를 유도하는 것이 바로 동반성장위원회가 추진해야 할 일인 것이다.

원문보기 :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0122203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