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닫기

전체메뉴

Quick Menu

Quick Menu 설정

※ 퀵메뉴 메뉴에 대한 사용자 설정을 위해 쿠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메뉴 체크 후 저장을 한 경우 쿠키 저장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언론속의 국민

[동아일보] "기고" 새 정부 장관=검증된 전문성+통합력/조경호(행정학전공) 교수

  • 작성자 조수영
  • 작성일 13.01.30
  • 조회수 8514
전직 장관들을 대상으로 장관이 갖추어야 할 역량, 장관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설문조사를 한 적이 있다. 당시 조사 결과는 우리나라 같은 대통령중심제 국가에서 장관은 대외적인 정치력보다 전문성과 정책 능력을 갖춰야 하고, 정책 집행과 기관 운영에서 주도적 역할을 해야 유능한 장관으로 기억된다는 점이다. 그런 면에서 박근혜 제18대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직인수위원 인선을 보면 일부를 제외하고 대체로 전문성과 정책 능력의 기준을 잘 따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박수를 치기에는 아직 이르다. 장관 인선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새 정부의 국정 방향과 성공 여부를 가늠할 첫 단추는 장관 인사부터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임기 2개월 남짓 되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 인사를 보고 새 정부 장관 인사의 맥을 짚기란 쉽지 않지만 현재까지는 새 정부의 장관 인사가 다양성과 전문분야 역량 및 실적 중심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10세기 중반 고려 광종이 왕을 중심으로 한 관료체제를 정비할 때 당시 고려에 책봉사절로 온 후주 사람 쌍기를 활용했듯이 새 정부는 전문성이 강한 인재를 장관으로 써야 한다. 다만 전문가적 소양을 갖춘 인재라 할지라도 정책 역량과 추진력이 떨어지면 ‘책상머리 전문가’로 전락한다. 이 때문에 실적 검증이 필요하다. 현실적으로 장관직은 정책전문가로서 부처를 책임지고 리드해 나가는 자리이고, 장관은 그런 역할을 즐기면서 주도적으로 수행해 내야 한다. 여기에는 자신을 둘러싸고 경합하는 다양한 이해관계인들과 협력적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해 나가는 역량도 포함된다.

장관 인선 기준의 또 하나의 축은 통합력이다. 새 정부의 조직개편안이 발표됐지만 나눠지고 신설되는 부처 안에서는 상당기간 후유증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 우리는 국제통화기금(IMF) 관리체제 직후 내무부와 총무처의 통합으로 출범했던 행정자치부를 기억하고 있다. ‘두 집 살림’으로 기억되는 행정자치부의 통합 부작용은 예상보다 컸다. 가장 먼저 나타난 현상은 고위직 인사와 현장 업무수행 과정에서 표출된 다양한 갈등이었다. 예를 들어 내무부 출신과 총무처 출신 공무원들은 장관실을 14층에 두느냐, 10층에 두느냐를 놓고 설전을 벌였다. 전 소속 부처의 장관실을 계속 사용하고 싶어 했기 때문이다. 결국 조율이 안돼 딱 중간인 12층에 장관 집무실을 두는 어이없는 일도 있었다.

모든 조직은 시간이 지나면 고유한 문화적 편향을 갖게 되며, 이들은 조직 구성원의 행동은 물론이고 조직의 신화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문화 충돌이 가시화되고 장기화되면 대부처 통합이 뜻했던 종합행정, 효율행정의 기대효과를 얻기 어려워져 결국 조직효율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장관은 이질적 문화의 충돌을 완화하고 조직 목표와 전략 중심으로 합체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배려할 수 있는 전환적 리더여야 한다. 전환적 리더는 전략을 중심으로 조직을 정렬할 수 있어야 하고, 조직구성원 개개인의 특성과 역량을 잘 파악해 인사를 할 수 있는 배려적 마인드를 가져야 한다. 또 부처 업무 전반에 대한 비편향된 지식과 전문성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 점에서 이질적인 모체 문화를 잘 이해하고 이를 동기부여의 핵심 지식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혜를 갖춘 전환적 리더가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

원문보기 : http://news.donga.com/3/all/20130125/52568916/1

출처 : 동아일보 기사보도 2013.01.25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