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닫기

전체메뉴

Quick Menu

Quick Menu 설정

※ 퀵메뉴 메뉴에 대한 사용자 설정을 위해 쿠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메뉴 체크 후 저장을 한 경우 쿠키 저장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언론속의 국민

[경향신문-시론] 일본 우경화, 한·중·일 민간 연대로 풀자/장석흥(국사학과) 교수

  • 작성자 조수영
  • 작성일 13.08.19
  • 조회수 8722

아베 추도사를 규탄하는 여론이 연일 국내외에서 빗발치고 있다. 한국과 중국은 물론, 일본 내에서도 아베의 도발적 언행에 심각한 우려와 함께 경고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 전몰추도사에서 과거사 반성과 사죄 내용을 삭제한 것은 우경화 측면에서 볼 때 그간의 역사왜곡이나 망언과는 수위를 달리하는 것임이 분명하다.

아베에게는 국제사회란 안중에도 없는 듯하다. 일본의 전몰자란 제국주의 침략전쟁에서 사망한 일본 군인들을 말한다. 일본의 침략전쟁은 반인류적 범죄였고, 패권주의 야욕을 불태우며 6억 아시아인의 자유와 평화를 유린하였다. 당시 한국과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여러 나라들은 2000여만명이 희생당하는 크나큰 피해를 입어야 했다. 아베는 그런 이웃의 고통과 아픔을 외면한 채, 패전일을 기념하는 자리에서 과거사 반성은커녕 ‘호국영령’이라는 이름 아래 일본군 전몰자들을 추도한 것이다. 이는 피해국인 이웃 나라를 무시할 뿐 아니라, 아시아 평화를 깨트리는 비인도적 행위가 아닐 수 없다.

‘과거사 치유’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의 몫이기에, 과거의 일이 아니라 현실의 문제이다. 그런 점에서 과거사 반성을 거부하는 일본의 태도는 독일과 너무나 대비된다. 독일은 패전 70여 년이 지난 지금에도 과거 잘못에 대해 주변국에 사죄하고, 피해 보상을 성실하게 실행하고 있다. 독일의 노력도 노력이지만, 주목할 것은 영국과 프랑스 등 주변 국가가 재발 방지를 위해 꾸준하고 강력하게 독일을 견제했다는 점이다. 반면 아시아에서는 일본의 노력도 없었지만, 피해국인 한국과 중국, 그리고 아시아 국가들이 일본을 제대로 견제하지 못했던 것도 사실이다. 유럽과 달리 먹고 살기가 어려웠던 아시아의 나라들이 현실적으로 과거사 치유에 앞서 일본의 경제지원이 절실했기 때문이었다. 그 과정에서 경제를 앞세운 일본은 오만한 태도로 일관하였고, 심지어 역사를 왜곡하는 일을 서슴지 않았다.

일본의 역사 왜곡이 국제사회에 크게 파란을 일으킨 것은 1980년대 초였다. 그때 우리는 국민 성금을 모아 1987년 독립기념관을 세웠고, 같은 시기에 중국은 인민항일전쟁기념관을 건립하여 일본의 각성을 촉구하였다. 그럼에도 일본의 역사왜곡과 망언은 그칠 줄 모르고 우경화로 치달았고, 급기야 아베 추도사에까지 이르게 된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향후 일본의 우경화가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는 점이다.
과거 제국주의를 미화하는 우경화는 결코 일본 내의 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피해 당사자인 이웃 나라는 물론 인류 평화에 반하는 것이며 또다시 역사에 죄를 짓는 일이다. 일본 제국주의가 결국 패망하고 말았던 것처럼, 우경화는 일본의 불행과 고립을 자초하는 것임을 깨달아야 한다.

내후년이면 광복 70주년이다. 그때까지도 과거사 치유가 이루어지지 못한 채, 일본의 우경화를 지켜봐야 하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앞선다. 물론 정부 차원에서 다각도로 대응 방안을 강구하겠지만, 민간 차원에서 한·중·일 공동으로 아시아 평화운동을 전개하는 것도 일본 우경화를 막는 방안이 될 것이다. 일본 스스로 우경화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면, 한국이나 중국 등 이웃 나라가 그것을 바로잡아줘야 할 의무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 점에서 한국의 독립기념관이나 중국의 인민항일전쟁기념관, 그리고 평화를 지향하는 양심적 일본 단체 및 기관 등이 함께 참여하는 공동의 광장을 만들어 평화운동을 전개하자는 것이다. 1909년 중국의 뤼순 감옥에서 안중근 의사는 일제 침략을 경고하고, 한·중·일 공동연대로 동양평화를 이룩하자는 동양평화론을 주창한 바 있다. 오늘날 일본 우경화를 극복하기 위한 평화운동은 바로 동양평화론과 그 맥락을 같이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원문보기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08182121415&code=990303

출처 : 경향신문 기사보도 2013.08.19 0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