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퀵메뉴 메뉴에 대한 사용자 설정을 위해 쿠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메뉴 체크 후 저장을 한 경우 쿠키 저장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중앙SUNDAY] 반란과 정변의 불씨 남긴 여진 정벌 책임론/박종기(국사학과) 교수
부왕 숙종의 상을 마친 예종은 1107년(예종2) 12월 17만의 군사로 2차 여진 정벌을 단행한다. 1104년(숙종9) 1차 여진 정벌이 실패한 지 3년 만이었다. 넉 달 만인 이듬해 3월 정벌지역에 9성(城)을 쌓았다. 사령관 윤관(尹瓘)이 이끈 정벌은 한마디로 파죽지세였다. 윤관은 휘하의 임언(林彦)을 시켜 9성 중 하나인 영주(英州)성 남쪽 청사에 정벌의 공을 기리는 글을 쓰게 했다.
“『맹자』에, ‘약한 것은 진실로 강한 것을 대적할 수 없으며, 작은 것은 진실로 큰 것을 대적할 수 없다’고 했다. 내가 이 말을 외운 지 오래되었으나 이제야 이 말이 진실이란 것을 믿게 되었다. 여진은 우리보다 군사도 약하고 인구도 적은 데도 병란을 일으켜 많은 백성을 죽이고 포로로 삼았다… 숙종께서 대로해 군사를 정비해 대의로써 토벌하다가 애석하게도 뜻을 이루지 못한 채 돌아가셨다. 지금 임금(*예종)은 3년상을 마친 뒤, ‘큰 효도란 어버이의 뜻을 잘 잇는 것이라는 옛 사람의 말에 따라 어찌 정의의 깃발을 들어 무도한 자를 쳐서 선왕의 치욕을 완전히 씻지 않겠는가?’라고 하셨다.”(『고려사』 권97 윤관 열전)
윤관은 백성을 죽이고 사로잡은 무도한 여진족을 약한 자로 규정하고, 그들이 강한 고려를 결코 이길 수 없다는 강약의 논리로 정벌을 정당화했다. 또 자신의 정벌은 숙종과 예종 두 국왕의 뜻을 실천하는 것이라 했다. 한 달 뒤인 4월 윤관이 개선하자 예종은 그에게 ‘오랑캐를 평정하고 영토를 넓혀 나라의 근심을 잠재운(平戎拓地鎭國)’ 공신이란 칭호를 주고 2인자인 문하시중으로 임명한다.
그러나 승패를 결정짓는 전쟁은 끝이 아니라 이때부터가 시작이었다. 17만 고려 대군과의 전면전을 피해 내륙으로 군사를 후퇴시킨 여진은 고려 주력군이 철수하자 곧바로 대규모 반격을 시작한다. 강약의 논리로 여진을 조롱한 영주 성벽에 내건 현판의 먹물이 마르기도 전이었다.
고위 관료들, 윤관 처벌 요구하며 출근 거부
9성 반환은 거란과의 외교 마찰을 해소하고 거란과 여진을 동시에 방어하는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는 논리다. 또한 민심을 안정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정벌을 주도한 예종과 윤관은 사면초가에 몰린다.
이 해 7월 재상 등 3품 이상의 고위 관료가 모여 9성 반환 여부를 논의했는데 이들은 모두 반환론에 동의했다. 국왕은 여진에 9성 지역을 반환하기로 결정한다. 또한 처벌 대신 윤관의 지휘권만 박탈한다. 관료들은 이에 만족하지 않고 다시 처벌을 요구한다. 이듬해(1110년) 5월까지 처벌론은 계속 제기된다.
“왕(*예종)이 건덕전(乾德殿)에서 조회를 했다. 재상(宰相) 최홍사와 김경용이 대간과 함께 윤관과 오연총이 패전한 죄를 묻는 상소를 올렸다. 왕이 듣지 아니하고 곧 궁궐 안으로 들어갔다. 최홍사 등이 궁궐에 가서 오후 4시까지 죄를 청했으나 왕이 허락하지 않았다. 재상들이 모두 집으로 간 후 출근하지 않아 관청이 모두 비었다. 왕이 평장사 이오와 중서사인 이덕우 등을 불러 당직에 숙직시켰다. 최홍사 등이 수십 일 동안 출근하지 않았다.”(『고려사』 권13 예종 5년(1110) 5월)
관료들은 처벌론이 관철되지 않자 수십 일간 조정에 나가지 않고 업무를 보지 않은 항의성 시위를 벌인다. 절대권력의 국왕 앞에서 있을 수 없는 일이 벌어진 것이다. 여진 정벌의 후유증은 국왕과 관료집단 사이의 대립과 갈등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예종은 끝까지 윤관을 옹호해 명예를 회복시킨다. 즉 이 해 12월 윤관을 다시 문하시중과 함께 판병부사로 임명해 군사권을 맡긴 것이다. 윤관이 사양하자 다음과 같이 말한다.
“그대(*윤관)가 여진을 정벌한 것은 선왕(*숙종)의 남기신 뜻과 나의 뜻을 따른 것이다. 죽음을 무릅쓰고 적진에서 적을 죽이고 사로잡은 것이 셀 수 없을 정도로 많고, 9성을 쌓아 나라의 오랜 치욕을 씻은 공은 실로 크다… 관리들의 탄핵으로 관직을 박탈당했으나 내가 그대의 잘못을 따지지 않은 것은 다시 공을 세우기를 바라기 때문이다.”(『고려사』 권96 윤관 열전)
여진 정벌은 이같이 두 국왕의 의지가 담긴 것이며, 그 의지를 몸소 실천한 이가 윤관이었다. 따라서 윤관 처벌론은 단순히 패전 책임을 묻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숙종·예종이 구상한 새로운 정치에 반대하는 관료집단의 뜻이 담겨 있다. 이 때문에 예종은 윤관을 끝까지 옹호했던 것이다.
예종은 처벌론을 잠재우고 윤관을 다시 기용해 정치적으로 승리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거기까지였다. 윤관은 다시 기용된 지 5개월 후 사망함으로써 이 정책은 더 이상 추진될 수 없었다. 측근 윤관의 죽음도 하나의 원인이지만 관료집단의 동의를 받지 못한 정책은 절대군주로서도 마음대로 할 수 없는 일이었다. 새로운 정치를 펼치려 했던 숙종과 예종의 정치는 9성 반환과 윤관 처벌론을 계기로 분출된 관료집단의 뿌리 깊은 불신과 저항에 부닥쳐 추진력을 잃었다.
숙종과 예종이 추구한 새로운 정치는 무엇일까. 숙종은 외척 이자의(李資義)가 병약한 헌종 대신 자신의 조카를 왕위에 앉히려 한 이자의를 제거하고 즉위했다. 숙종은 기득권층인 외척과 문벌귀족 중심의 정치를 청산하고 왕권과 왕실의 권위를 확립하려는 ‘부국강병’이라는 실용주의 정책을 시행한다. 이 정책은 적극적인 대외 경략과 과감한 재정 개혁을 통해 개인이나 사문(私門)이 아닌 국가의 부를 확대하려 한 정책이다. 당시 송나라에서 시행된 왕안석의 신법(新法)을 모델로 삼았다. 『고려사』에서도 숙종의 정책을 또한 신법이라 불렀다. 어진 정치(仁政)와 덕을 앞세운 덕치(德治)를 내세운 유가(儒家)적 군주상과 달리 숙종은 법가(法家)적인 군주상을 지닌, 우리 역사에서 보기 드문 국왕이었다.
이자겸·묘청의 난과 무신정변으로 번져
숙종의 부국강병책은 구체적으로 수도 천도, 화폐 유통, 여진 정벌의 세 가지다. 예종 전반기까지 추진된 이 정책을 앞장서서 실현한 인물이 윤관이다. 윤관은 숙종의 동생인 승려 의천(義天)과 함께 숙종을 보좌한 최측근이었다. 거란과 송나라는 갑작스럽게 헌종의 왕위를 물려받아 즉위한 숙종을 의심했다. 윤관은 두 나라에 사신으로 가서 즉위의 정당성을 알렸다. 그는 화폐를 주조하고 유통시켜 문벌귀족 대신 국가가 유통과 경제권을 장악하는 데 앞장섰다. 문벌귀족의 정치기반을 무너뜨리기 위해 지금의 서울인 남경으로 수도를 옮기기 위해 궁궐을 신축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숙종 때 여진 정벌에 실패하자 별무반 편성을 건의했고, 이 군사를 거느리고 예종 때 다시 여진 정벌에 나섰다. 윤관은 두 국왕이 가장 신뢰한 측근 중의 측근이었다.
여진 정벌이 실패하자 관료집단은 이를 빌미로 윤관 처벌론을 제기해 두 국왕이 추구한 새로운 정치를 부정하려 했다. 이로써 약 15년간 시행된 한국사 초유의 부국강병책은 실패한다. 그러나 그 파장은 컸다. 국왕과 문벌귀족 세력의 극렬한 대립과 갈등을 낳았고,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난은 물론 끝내는 무신정변이라는 엄청난 정치적인 파장을 불러일으킨다. 여진 정벌을 둘러싼 정치권의 대립과 갈등은 그 신호탄이었다.
원문보기 : http://sunday.joins.com/article/view.asp?aid=31772
출처 : 중앙SUNDAY 기사보도 2013.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