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퀵메뉴 메뉴에 대한 사용자 설정을 위해 쿠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메뉴 체크 후 저장을 한 경우 쿠키 저장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아침을 열며] 모르는 것들과의 싸움을 응원하며 / 김도현(경영학부) 교수
저는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두려움이 머지않아 조금씩 줄어들 것이라고 믿기 시작했습니다. 세계의 많은 이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와 맞서 지식의 전면전을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다행스럽게도 이들은 2003년 사스나 2015년 메르스 때에는 미처 갖지 못했던 무기도 들고 있습니다. 바로 지식을 공유하는 온라인 플랫폼입니다. 사진은 4일 서울시 중구 국립중앙의료원에 설치된 신종 코로나비이러스 감염증 선별진료실에서 의료진이 전화 통화를 하는 모습. 연합뉴스
너무 어릴 때 대영박물관에 데려갔던 것이 문제였습니다. 이집트 전시실에서 미라 실물을 맞닥뜨린 이후, 제 딸은 한동안 미라 공포에 시달렸습니다. 다시 살아날 것 같았답니다. 이 기억은 이제 훌쩍 커버린 딸을 놀릴 때 소환되곤 합니다만, 어린 시절 귀신이나 외계인, 지구 종말을 걱정했던 사람은 제법 흔합니다. 사람들은 왜 쓸데없이 두려워할까요? 진화심리학은 공포감이 인간 생존에 꼭 필요하다고 설명합니다. 겁이 없는 사람들은 대체로 일찍 죽기 때문입니다. 잘 모르는 것은 일단 두려워해야 목숨을 보존하는 데 유리할 겁니다. 우리는 겁쟁이들의 자손들입니다.
요즘 우리는 무섭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때문입니다. 중국의 감염자 수 증가가 두렵고, 그 수치가 사실 크게 축소된 것이라는 소문에 두렵고, 곧 대유행이 되지는 않을까 두렵습니다. 마스크와 손 세정제를 자꾸 사는 버릇도 생겼습니다. 공포는 빨리 확산됩니다. 매일 행사와 약속이 취소되고 있습니다. 먼저 중국 출장이 취소되었고, 강의와 학술행사가 사라지더니 이제 대학의 졸업식과 개강까지 불투명합니다. 두려움이 실물경기로 전파되는 추세도 보입니다. 예약이 안되던 식당에는 빈자리가 늘었고, 유통과 여행업계의 지표들도 빠르게 악화되고 있습니다. 제조업의 글로벌 공급망에도 차질이 생길 듯 합니다.
우리는 잘 알지 못해서 두렵습니다. 이 사태가 얼마나 오래갈지, 바이러스는 얼마나 치명적인지, 치료방법이 있는 것인지 우리는 모릅니다. 좀 더 알게 되면 두려움은 좀 더 줄어들 것입니다. 돌이켜보면 어린 시절의 두려움이 사라진 것도 그저 나이를 먹어서가 아니라 뭔가 알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외계인의 지구침공은 특수상대성이론 덕분에 초광속이동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알게 되면서, 지구종말 예언들은 제 나름 어떤 역사적 이유로 생겼다는 걸 알게 되면서, 두려움은 차차 사라졌습니다.
저는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두려움이 머지않아 조금씩 줄어들 것이라고 믿기 시작했습니다. 세계의 많은 이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와 맞서 지식의 전면전을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그 최전선에는 물론 의료인들이 서 있습니다. 역학, 보건학, 감염의학, 예방의학을 전공한 이들입니다. 그리고 미생물학, 통계학, 컴퓨터공학등 다른 전공자들도 속속 참전하기 시작했습니다. 다행스럽게도 이들은 2003년 사스나 2015년 메르스 때에는 미처 갖지 못했던 무기도 들고 있습니다. 바로 지식을 공유하는 온라인 플랫폼입니다. 생물학자들이나 의학자들이 자신의 연구결과를 즉시 공유하는 바이오아키브(BioRxiv)나 메드아키브(MedRxiv)에는 전 세계의 학자들이 매일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연구결과들이 실시간으로 공유됩니다. 심사가 늦다는 비판에 직면한 랜셋(Lancet)이나 뉴잉글랜드의학저널(NEJM)과 같은 권위있는 학술지들도 심사과정을 크게 줄여 검증된 연구결과를 보다 빠르게 배포하기 시작했습니다. 지식은 이런 방식으로 즉각 확산되고, 그 바탕에서 매일 조금씩 진보합니다. 이 싸움터에는 국가 간의 장벽도, 특허에 대한 욕망도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중국에서 밝혀진 임상데이터는 이탈리아의 바이러스 분리에 도움을 주고, 홍콩의 통계학자들이 감염추세를 통해 국가 간 통제기준설정을 돕는가 하면, 한국의 연구자들이 머신러닝기법으로 치료약을 찾아보겠다고 덤벼듭니다. 연구를 위해 중국의 박쥐동굴에 기어 들어가거나 환자들의 몸에서 검체를 채취하는 수고도 아끼지 않습니다. 쏟아져 나오는 논문과 토론을 지켜보노라면 멋진 전쟁영화에서 보던 전우애가, 그리고 사람들을 살리겠다는 뜨거운 인류애가 진하게 느껴집니다. 이들의 위대한 전쟁이 승리로 기록되기를, 그리하여 인류가 또다시 두려움과 싸워 이긴 역사를 만들어 내기를 진심으로 믿고 또 응원합니다.
원문보기: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2002041387095122?did=NA&dtype=&dtypecode=&prnewsid=
※ 게재한 콘텐츠(기사)는 언론사에 기고한 개인의 저작물로 국민대학교의 견해가 아님을 안내합니다.
※ 이 기사는 '뉴스콘텐츠 저작권 계약'으로 저작권을 확보하여 게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