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퀵메뉴 메뉴에 대한 사용자 설정을 위해 쿠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메뉴 체크 후 저장을 한 경우 쿠키 저장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책 ‘고려사’ 여백의 한문 낙서 추적해보니 안정복 친필 기록 / 박종기 (국사학과) 교수
여기 한 권의 책이 있다. 조선 초 정인지 등이 편찬한 ‘고려사’ 50책 중 41책. 1987년 국민대 사학과에 다니던 한 학생이 이 책을 헌책방에서 발견해 3000원에 샀다. 고려사는 단종 때부터 목판 인쇄돼 수십 질이 전해지는데 이 책에는 특이하게도 중간 중간에 초서나 행서 붓글씨로 된 한문 기록이 빽빽이 담겨 있었다. 학생은 고려사를 전공한 스승에게 이 책을 선물했다. 흔히 볼 수 있는 고려사 목판본의 하나로 여겼던 교수는 곧 유려한 필체의 ‘낙서’에 주목했다. 그리고 한문에 조예가 깊은 스승의 도움을 받아 책 첫머리에 ‘안정복인(安鼎福印)’이라는 인장이 희미하게 날인된 것을 발견했다. 박종기(55) 국민대 교수가 최근 펴낸 ‘안정복, 고려사를 공부하다’는 이렇게 시작한다. 박 교수의 수중에 들어온 책은 18세기 조선의 역사학자 안정복(1712∼1791)의 수택본(手澤本). 수택본이란 소장자의 손때가 묻은 책을 말한다. 안정복이 누구인가. 단재 신채호가 ‘조선왕조 500년 이래 평생을 오직 역사학 연구에 받친 유일한 사학전문가’라고 칭송한 실학자다. 그의 대표작인 ‘동사강목’은 고조선사∼고려사를 다루고 있는데 전체 17권 중 12권이 고려사를 다룰 만큼 고려사의 보고로 평가된다. |
박 교수는 나머지 49권의 행방을 찾아 나섰고 올해 초, 서울대 규장각에 소장된 28질의 ‘고려사’ 중에서 그 책들을 찾아냈다. 조사 결과 이들 책 대부분에 안정복이 남긴 기록들이 담겨 있었다. 그중 41책은 누군가가 ‘고려사’ 원본을 필사해 슬며시 끼워 놓은 것으로 확인됐다. “저 자신이 규장각 연구원으로 3년간 있으면서도 몰랐던 사실입니다. 그 옛날 누군가가 술값 삼아 외부로 팔아넘긴 책이 제 손에까지 흘러들어 온 것은 아닐까요.” 18일 서울 종로구 인사동 한정식집에서 숨겨진 이야기들을 털어놓은 박 교수는 “고려사 연구자들이 묘지명과 개인문집을 통해 고증에 나선 것이 1980년대 이후였는데 안정복은 250여 년 전에 이를 철저히 실천했다”고 특정 이념에 입각한 역사 서술에 경도된 우리 역사학계의 반성을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