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퀵메뉴 메뉴에 대한 사용자 설정을 위해 쿠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메뉴 체크 후 저장을 한 경우 쿠키 저장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대일 청구권 협상때 한미공조 日 압박”/ 일본학연구소
국민대 일본학硏, 한일회담 외교문서 3만4000쪽 판독
“1951년부터 1965년까지 14년에 걸쳐 진행된 한일회담은 건국 초기 신생 독립국가의 지식인과 관료들이 민감한 외교 회담을 경험하며 전문성과 기능성을 갖춰가는 모습을 생생히 보여주는 현대사 자료입니다.”
최근 국민대 일본학연구소가 한일회담 외교문서의 해제 작업을 시작한 지 2년여 만에 권당 900쪽에 이르는 ‘한일회담 외교문서 해제집’(동북아역사재단)을 펴냈다.
이 연구소의 소장 이원덕 국민대 국제학부 교수는 “지금까지 한일회담 외교문서를 바라보는 시각은 청구권 문제의 진실을 드러내는 데만 집중됐지만 이 문서만큼 건국 이후 정부 조직의 활동을 세밀하게 들여다볼 수 있는 자료도 없다”고 말했다.
한일회담 외교문서는 분량이 3만4000여 쪽에 달하고 문서 건수로도 9000건에 이른다. 한글 한문 혼용, 영문 등 다양한 언어에 1958년경까지는 손으로 쓴 필사본이어서 판독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 연구소의 김영미 김영수 안소영 이이범 이현진 박사 등 전임연구원 5명이 2년간 꼬박 매달린 결과입니다.”
이 소장은 “한일회담이 특정 정치인 개인의 독단이나 영웅적 결단으로 이뤄진 것처럼 여겨지는 것은 잘못”이라며 “회담 과정의 모든 의사는 관료 집단에 의해 조직적으로 결정됐다”고 말했다.
1962년 11월 12일 당시 김종필 중앙정보부장과 오히라 마사요시(大平正芳) 일본 외상의 회담이 대표적 사례. 청구권 금액을 합의한 ‘김-오히라 메모’라 불리는 이 회담은 실제로는 외무부를 중심으로 제시 금액, 타결 방안, 논의 요점을 수차례 정리해 보고한 결과다.
이 교수는 “해제 작업 결과 1950년대부터 한국과 미국이 청구권 협상, 재일 조선인의 북송 문제 등 한일회담 전반의 정보를 공유하는 긴밀한 공조로 일본을 압박한 사실도 나타났다”고 말했다. 실제로 문서에는 주일본 한국대표부와 주일 미국대사관, 주한 미국대사관 직원들이 수차례 만나 회담 방향, 일본이 제시할 청구권 액수까지 논의한 사실이 나온다. 이 교수는 “일본 측 문서가 공개돼야 전말을 알 수 있겠지만 통설처럼 미국이 일본 편만 들었다는 얘기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원문보기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0&aid=0001963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