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퀵메뉴 메뉴에 대한 사용자 설정을 위해 쿠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메뉴 체크 후 저장을 한 경우 쿠키 저장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한국으로부터의 통신’ 논쟁의 장에 / 한상일(정외) 교수
“‘한국으로부터의 통신’은 왜곡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한국 내의 반체제운동을 선도했고, 직접적으로 민중혁명을 촉구하는 북한의 대남전략을 도왔으며, 전후 일본인에게 부정적 한국상을 심어주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한상일)
“‘통신’은 학문적인 글이 아니라 저항의 글이다. 박정희 독재와 싸우기 위해 과장한 점이 없지 않지만, 그렇게라도 싸우지 않았다면 오늘의 민주화된 사회가 가능했겠는가.”(지명관)
‘한국으로부터의 통신’(‘통신’)이 마지막 편지를 띄운 지 20년 만에 논쟁의 장에 호명됐다.‘통신’의 필자는 ‘TK生’이다.‘TK生’은 1973년부터 88년까지 15년간 일본 잡지 ‘세카이’(世界)에 ‘통신’을 연재했다. 국내 언론이 침묵을 강요당했던 시절,‘통신’은 박정희·전두환 군사독재와 민주화운동의 현실을 일본과 세계로 알리는 창이었다.‘TK生’은 지명관 전 한림대 석좌교수다.‘사상계’ 편집장을 지낸 그는 72년 10월 일본 유학을 떠나 20년간 망명과도 같은 생활을 하며 ‘통신’을 썼고, 올 2월 ‘한국으로부터의 통신’(창비)을 책으로 묶어 출간했다.
최근 한상일 국민대 정치외교학과 교수가 ‘통신’을 비판하는 주장을 담은 책 ‘지식인의 오만과 편견-세카이와 한반도’(기파랑)를 내놓았다. 한 교수는 ‘세카이’ 창간호인 46년 1월호부터 89년 12월호까지 한국 관련 기사를 분석,‘세카이’가 ‘북한-선 남한-악’이란 흑백논리로 당시의 한국사회를 왜곡했다고 결론지었다.
한 교수는 ‘세카이’의 한국 인식에 ‘통신’이 결정적 악영향을 끼쳤다고 주장한다. 그는 ‘통신’을 “황당무계한 유언비어를 통해 반정부 활동과 민중혁명을 촉구한 글”로 혹평하며,‘통신’이 박정희 정권을 비판하기 위해 사용한 ‘팩트’의 부정확성을 지적했다.“민주화란 이름으로 거짓 정보, 근거 없는 소문, 반정부 집단이 의도적으로 조작한 유언비어 등을 진실인 양 전달”해 독자들에게 “추악한 한국의 정권, 그 밑에서 신음하는 국민이란 논리에 몰입하게 했다.”는 것이다.‘통신’과 달리 한 교수는 박정희 시대의 경제개발을 ‘자립경제를 이루기 위한 민족주의 기획’이라고 높이 평가한다.
한 교수의 주장에 대해 ‘TK生’ 지명관 전 교수는 “논평할 필요성을 못 느낀다.”고 맞받았다. 그는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진실에 접근하기 어려웠던 시절에 폭압적 정권에 맞서느라 부정확한 정보가 확대 해석됐을 수 있다.”면서도 “학문적으로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와는 별개로 ‘통신’은 긴급조치 하에서 달리 선택할 수 없었던 치열한 싸움의 수단이었다.”고 못 박았다.
박정희 정권에 대한 한 교수의 긍정적 평가에 대해서도 지 전 교수는 “오로지 ‘경제성장’이란 잣대로만 시대를 논한다면 잔인한 인권침해와 억압적 통치를 간과하게 된다.”면서 “박정희 정권이 계속됐다면 오늘의 한국 사회가 어떻게 됐을지 상상하기도 싫다.”고 반박했다.
원문보기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81&aid=0001955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