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닫기

전체메뉴

Quick Menu

Quick Menu 설정

※ 퀵메뉴 메뉴에 대한 사용자 설정을 위해 쿠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메뉴 체크 후 저장을 한 경우 쿠키 저장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언론속의 국민

[아침광장]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드러난 중국 언론의 민낯 / 박창건(일본학과) 교수

  • 작성자 박채원
  • 작성일 23.10.19
  • 조회수 209

박창건 국민대학교 일본학과 교수

 


지난달 23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16일간의 열전으로 진행된 제19회 항저우(Hangzhou) 아시안게임이 10월 8일에 폐막했다. 원래 항저우 아시안게임은 2022년 9월 10일부터 25일까지 개최될 예정이었지만, 월드컵과 개최연도가 겹치는 것을 피하려고 2023년으로 미뤄졌다. 더욱이 2019년으로 예정되었던 하노이(Hanoi) 아시안게임이 반납되어 18회 대회가 1년 빠른 2018년으로 앞당겨지면서,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는 기존대로 2022년에 대회를 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중국 당국은 내부의 코로나19 확산 및 군중통제 등을 문제 삼아 2023년 9월 23일에 개최하기로 최종적으로 결정했다. 주목할 점은 그동안 국제무대에 두문불출했던 북한이 침묵을 깨고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이후 5년 만에 복귀했다는 사실이다. 북한의 출전으로 아시안 회원국 전체가 참가한 명실상부한 47억 아시아인의 축제가 되었다. 하지만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연출된 중국 관영 매체들의 사진 삭제 논란은 스포츠를 정치의 영역에 끌어들여 “마음이 통하면 미래가 열린다”는 경기 슬로건을 무색하게 만들었다.


문제가 된 사진은 여자 육상 100m 허들 결승전 직후 금메달을 딴 중국 린위웨이가 유니폼 숫자 6을 달고 은메달리스트인 자국 동료 우옌니가 유니폼에 숫자 4를 달고 트랙 위에서 포옹하면서 찍힌 장면에서 “6.4”가 연출되었기 때문이다. 이 사진은 중국 관영 언론인 신화통신에서 촬영되었고 중국 국영 방송사 CCTV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에도 게재됐으나, 숫자 ‘6’과 ‘4’는 중국에서 검열 대상 중 하나로 꼽히기 때문에 돌연 1시간 만에 삭제되는 조치를 당했다. 즉 1989년 6월 4일 중국 당국이 시민들을 유혈 진압한 천안문 민주화 시위 사건을 떠올리게 해서이다. 그 여파로 홍콩, 대만 등지에서 발발한 반중 시위가 6월 4일 오후 6시 4분에 확산되었기에 중국 당국은 ‘6·4’에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해당 사진에 대한 분명한 검열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조롱거리로서 화제가 되고 있으며, BBC와 CNN 등과 같은 서구 언론에서는 이 내용을 보도하면서 정치화된 언론 ‘검열 논란’이라고 지적했다.


중국 당국은 시진핑(Xi Jinping) 주석의 지시에 따라 언론과 인터넷에 대한 통제와 검열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 중앙선전부 언론 감시실에 따르면, 중국 내 모든 언론 종사자들은 2019년부터 정부 직원과 교사를 비롯한 중국 국민 수억 명을 통제하기 위해 도입한 ‘앱을 통해 교육’을 받고 시험을 거쳐야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앱 교육을 받은 언론인들은 중국 공산당 정치선전과 자료를 학습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급여가 삭감되거나 다른 처벌을 받게 된다는 점이다. 더욱이 국영기업과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일부 민간 기업까지 자신들의 콘텐츠를 발표하기 전 ‘런민 선자오(Renmin Shenjiao)’를 통해 문제가 될만한 내용이 있는지 사전 검열을 받아야 한다. 이는 일종의 디지털 감시이며, 언론 장악을 통해 디지털 독재를 더욱 강화하여 새로운 차원의 가혹한 권위주의를 추구하는 트렌드로 변질되고 있다.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연출된 “6.4” 사진 삭제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중국 당국의 언론 검열은 시진핑식의 ‘중국몽(中國夢)’을 정착시키는 정치적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의 경제적 위상과 글로벌 리더로서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면, 중국 언론사들의 경영은 점차 시장화되어 가는 추세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조용한 변화는 ‘사회주의’가 가지고 있는 언론의 통제성과 ‘자본주의’가 불러온 언론자유 간의 갈등을 더욱 유발해 불안정한 중국의 언론 지형에 일대 전환기를 언젠가는 맞이할 것이다. 흥미로운 것은 중국 언론 환경이 공산당에 의한 자급자족식 언론 경영의 시장화를 독려하면서도 전통적인 당의 언론 통제를 고집하는 이중적 상황에 놓여 있다는 점이다. 다시 말하면 중국 당국의 언론 통제와 검열은 공산당의 이념적 지배와 순응을 강조하고 콘텐츠 검열 시장에서 모호한 ‘레드라인’을 표명하지만, 정치적으로 민감한 내용에 대해서는 강경하게 대처하고 있기에 언론자유를 앞당길 수 있을지는 회의적이라고 생각된다.

 

 

 

 

 

 

 

 

 

 

 


※ 게재한 콘텐츠(기사)는 언론사에 기고한 개인의 저작물로 국민대학교의 견해가 아님을 안내합니다.

※ 이 기사는 '뉴스콘텐츠 저작권 계약'으로 저작권을 확보하여 게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