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퀵메뉴 메뉴에 대한 사용자 설정을 위해 쿠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메뉴 체크 후 저장을 한 경우 쿠키 저장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중앙SUNDAY] 덕종 “보주성 탈환” 외치다 18세에 의문의 죽음/박종기(국사학과) 교수
1907년 일본이 독도를 시마네현에 강제 편입하면서 시작된 ‘독도 영유권 분쟁’은 100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이 같은 영토분쟁이 고려 때도 있었다. 1014년(현종5) 거란이 압록강 동쪽 고려 영토인 보주(保州·지금 義州)성을 점령한 뒤 고려가 이곳을 되찾은 건 100여 년 뒤인 1117년(예종12)이다. 거란이 보주를 실효적으로 지배한 점만 다를 뿐 장기간에 걸친 영토분쟁이란 점에서 독도 영유권 분쟁과 다를 바 없다. 분쟁의 발단은 다음과 같다.
“거란이 압록강에 다리를 놓은 뒤 그것을 끼고 동서로 성을 쌓았다. 고려는 군사를 보내 공격해 깨뜨리고자 했으나 이기지 못했다.”(『고려사』권4 현종6(1015) 1월)
거란이 압록강에 부교(浮橋)를 설치해 고려 영내로 들어와 성을 쌓은 건 1014년(현종5) 6월이다. 6개월 뒤인 1015년 1월 고려가 이 성을 공격한 것이다. 거란 측 기록에 따르면 이때 거란이 쌓은 성은 압록강 서쪽의 정원성(定遠城)과 동쪽의 내원성(來遠城)이다. 고려는 압록강 동쪽의 내원성을 공격했다. 거란은 고려 영토인 보주를 점령해 내원성으로 이름을 고쳐 거란의 영토로 편입시켰다. 고려로서는 받아들일 수 없는, 명백한 영토침략 행위였다.
거란이 1010년(현종1) 두 번째로 침략하자, 고려는 국왕 현종이 거란에 직접 가서 항복하겠다는 조건으로 화의를 맺는다. 그러나 현종이 거란에 가지 않자, 거란은 이를 빌미로 강동 6성의 반환을 요구한다. 이마저 고려가 거부하자, 1014년 6월 거란은 보주성을 점령한 것이다. 중국 대륙과 한반도를 오가는 육로의 요충지인 보주 점령은 강동 6성을 되돌려 받기 위해 군사적으로 고려를 압박하려는 거란의 선제 공세였다. 전략과 교통의 요지인 강동 6성의 지정학적 가치를 거란이 그만큼 중요하게 여겼다는 방증이다.
거란 침입 대비해 압록강변 천리장성 축조
보주성 점령 4개월 만인 1014년 10월 거란은 제 3차 침략을 단행한다. 3개월 뒤 고려는 앞의 기록과 같이 기습적으로 보주성을 공격하다 실패한다. 3차 전쟁은 5년 뒤인 1019년 2월 강감찬이 이끄는 고려군이 거란을 물리치면서 종결된다. 그러나 고려는 보주성을 반환받지 못했다. 10년 뒤 고려는 다시 보주성을 공격한다.
“1029년(현종20) 흥요국(興遼國)이 요(거란)에 대해 반란을 일으켰다. 거란이 고려에 구원을 요청했다. 문신 곽원(郭元)은 왕(현종)에게 ‘거란이 압록강 동쪽에 점령한 성을 이번 기회에 공격해 빼앗기로 합시다’라고 제안했다. 그러나 최사위(崔士威)·서눌(徐訥)·김맹(金猛) 등은 상소를 올려 불가능하다고 건의했다. 곽원은 고집을 굽히지 않고 군사를 동원해 공격했으나 실패했다. 그 때문에 등창이 나서 죽었다.”(『고려사』권94 곽원 열전).
1029년(현종20) 발해 후손 대연림(大延琳)이 거란에 반란을 일으켜 흥요국을 세우자, 거란이 고려에 흥요국 진압을 위한 구원병을 요청했다는 기록이다. 이때 보주성 공격을 제안한 곽원은 거란이 1014년(현종5) 6월 제3차 침략을 단행했을 때 사신으로 송나라에 가서 구원을 요청했던 인물이다. 거란에 강경한 입장을 가진 매파였던 것이다. 곽원은 다른 중신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보주성을 공격했으나 실패한다. 고려는 1015년(현종6) 1월에 이어 14년 만에 단행한 두 번째 보주성 탈환 전투에서도 패배한 것이다.
2년 뒤인 1031년 현종이 숨지면서 그의 맏이인 덕종(德宗·1016~1034년, 1031~1034년 재위)이 즉위한다. 그해 10월 고려는 고려 침략을 주도한 거란 국왕 성종(聖宗)의 장례식(이해 6월 사망)과 흥종(興宗)의 즉위식에 사신을 파견할 때 보주성 반환을 요구한다. 고려가 이같이 거란을 압박할 수 있었던 건 국제정세 변화 때문이다.
먼저, 흥요국 건국과 같은 발해 부흥운동 직후 거란 성종이 숨지고, 부마 필제(匹梯)가 반란을 일으키는 등 거란의 어수선하고 불안한 정세가 작용했다. 고려는 이를 틈타 보주성을 반환받으려 했던 것이다. 다음, 당시 고려는 덕종의 장인 왕가도(王可道)가 정국을 주도했다. 왕가도는 거란에 강경한 입장을 견지한 매파였다. 매파와 비둘기파를 적절하게 이용해 정국을 주도하던 현종이 죽자, 매파인 왕가도가 정국의 주도권을 잡은 것이다. 이해(1031년) 11월 거란 성종의 장례식에 참석한 고려 사신이 귀국한다.
“(사신) 김행공(金行恭)이 귀국하여 ‘거란이 우리 고려의 요구를 거부한다’고 보고했다. 평장사 서눌(徐訥) 등 29명은 ‘사신 파견을 중단하자’고 했다. 반면 중추사 황보유의(皇甫兪義) 등 33인은 ‘거란과의 단교는 결국 (전쟁을 일으켜) 백성을 피곤하게 하는 폐단을 가져다 줄 것이니, 거란과의 관계를 유지해 백성을 쉬게 하는 것이 좋다’고 반박했다. 그러나 덕종은 서눌과 왕가도의 의견에 따라 사신 파견을 중단하고 죽은 거란 성종 연호만 사용하기로 했다.”(『고려사절요』 권3 덕종 즉위년(1031) 11월)
거란이 보주성 반환을 거부하자 고려는 새로 즉위한 흥종의 연호 사용을 거부한 것이다. 거란의 새 국왕을 인정하지 않겠다는 뜻이다. 고려는 이듬해인 1032년(덕종1) 정월 거란 사신의 입국도 거부한다. 거란과 외교관계까지 단절한 것이다. 고려는 이어 삭주(보주 인근), 영인진(함경도 영흥), 파천현(함경도 안변) 등지에 성곽을 쌓아 거란의 침입에 대비한다. 이 조치의 연장이 1033년(덕종2) 시작된 압록강 하구에서 함경도 안변 도련포까지의 천리장성 축조다(1044년 완성).
원문보기 : http://sunday.joins.com/article/view.asp?aid=30964
출처 : 중앙선데이 기사보도 2013.07.28